<aside> <img src="/icons/checkmark-line_lightgray.svg" alt="/icons/checkmark-line_lightgray.svg" width="40px" /> 해당 문서는 30기 밋업프로젝트 스프린트 보고서 가이드라인입니다. 밋업 프로젝트 가이드라인을 참고하시어, 스프린트 별 진행 상황에 따라 노션 페이지를 복제하여 자유롭게 문서를 구성해주세요. 제출해주신 보고서는 큐시즘 30기 전체 노션에 공개됩니다.
**스프린트 보고서는 프로젝트 진행 점검 및 최종 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한 과정의 일환이므로, 부담없이 작성해주세요!
각 주차별 보고서는 ⭐️개별적⭐️으로 제출해주셔야 하며, 이전 스프린트 보고서의 내용에 디벨롭된 내용을 덧붙여 제출해 주세요.
지각 제출 10분 단위로 참여도 1점 감점됩니다. (최대 5점)**
</aside>
<aside> 📍 C-nergy 시너지 C팀 + energy의 합성어로, C팀의 모든 팀원들이 각자의 에너지를 가지고 함께 함으로써 결국 최고의 시너지를 만들어가겠다는 의미를 담았습니다 😊
</aside>
분야 | 이름 | 포지션 |
---|---|---|
기획 | 한나영 | PM, 서비스 기획 - 데스크 리서치, 유저리서치, 아이데이션, 와이어프레임, 기능명세서 |
기획 | 신예진 | 서비스 기획 - 데스크 리서치, 유저 리서치, 아이데이션, 와이어프레임, 페르소나 및 CJM |
기획 | 홍가연 | 서비스 기획 - 기획 리드, 데스크 리서치, 유저 리서치, 아이데이션, 와이어프레임, 기능명세서 |
디자인 | 최은정 | 프로덕트 디자인 - 브랜딩디자인, UXUI디자인, 그래픽디자인 |
프론트엔드 | 공예영 | UI 및 기능 구현, PR CI 구축 |
프론트엔드 | 황동준 | 프론트엔드 리드, UI 및 기능 구현, ncp 배포 및 CI/CD 구축 |
백엔드 | 전호영 | DB 및 API 구축, 서버 배포 ,네이버 클로바 API 연동, 인프라 구축 |
백엔드 | 한성민 | 개발 리드, DB 설계 및 API 구현, 네이버 클로바 API 연동, 서버 배포 |
1️⃣ 시간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는 사회 동향
2024 트렌드 코리아 키워드로도 선정된 ‘분초사회’는 시간이 중요성이 매우 강조되는 사회로, 시간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분초(分秒)를 다투며 산다는 의미입니다. 이처럼 현대사회에서 시간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시성비’라는 용어도 등장할 만큼 시간의 ‘가성비’를 중시하는 현상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CJ ENM의 디지털마케팅 기업 메조미디어의 조사에 따르면 현대사회 사람들은 ‘현대사회에서 시간은 가장 큰 자원(82%)’이라고 생각하며 ‘남들보다 24시간을 효율적으로 써야 나의 가치를 더 높일 수 있다’고 답했습니다. 이는 시간의 가치를 무엇보다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결과로,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니즈가 사회적으로 퍼져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출처: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712649&cid=43667&categoryId=43667, https://www.banronbodo.com/news/articleView.html?idxno=23135
2️⃣ 일상 속 발생하는 자투리 시간
그렇다면 우리의 일상 속 ‘시성비’는 얼마나 잘 이루어지고 있을까요?
2020년 인구주택총조사에 의하면 경기·인천 통학·통근 인구 153만 명 중 90% 이상(141만 명)이 서울로 이동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구체적으로 2022년 잡코리아 조사에 따르면 직장인들이 출퇴근을 위해 하루에 소요하는 시간은 평균 1시간 24분으로 밝혀졌습니다. 특히 경기도 거주 직장인은 왕복 출퇴근을 위해 하루에 102분을 소요하며 지방 거주 직장인 61분, 서울 거주 직장인 79분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은 수치를 보였습니다.
이러한 직장인들에게 출퇴근 길에 느끼는 피로도를 점수로 환산(*100점 만점 기준)하게 한 결과, 경기권은 74점, 서울과 지방은 71점을 보이며 직장인의 출퇴근 피로도의 심각성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들에게 피로감을 느끼는 이유에 대해 복수응답으로 꼽아보게 한 결과로는 “오늘도 어김없이 출근이라는 현실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는다”는 의견이 63%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함이 드러났습니다. 이는 직장인들이 출퇴근 길의 반복성과 긴 시간에서 불편함을 느낀다는 것으로 해석 가능합니다. 즉, 반복적인 출퇴근길 안에서 새로운 활동을 통해 이러한 피로감을 제거해볼 수 있다는 것입니다.